애플 아이폰 익스프레스 모드
마침내 아이폰 사용자들도 실물 교통카드 없이 아이폰·애플워치만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2025년 7월 22일부로 애플이 국내 교통 선불카드 티머니(Tmoney) 를 애플페이·Apple 지갑(Apple Wallet)에 공식 지원하면서, 그동안 안드로이드·삼성페이 사용자 중심이던 국내 모바일 교통 생태계에 큰 변화가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용자는 지갑 앱에서 티머니를 추가하고, 단말기에 ‘톡’ 찍기만 하면 잠금 해제 없이도 바로 승차할 수 있는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잔액이 일정 기준 아래로 떨어지면 자동충전까지 지원돼, 출퇴근길 번거로움이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티머니 애플페이 설정 방법
티머니를 Apple 지갑에 등록하면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에서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만 탭하면 결제가 이뤄집니다(일부 시외버스·특정 택시 제외). 애플이 제공하는 보안 아키텍처(Secure Element 암호화) 기반으로 결제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되며, 기기 분실 시 ‘나의 찾기’로 원격 잠금이 가능합니다. 이동 중 잠금 화면 해제 없이 결제되는 익스프레스 모드, 배터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도 한동안 교통 이용을 유지하는 저전력 모드 지원 등 ‘실사용 편의성’이 강조된 점이 특징입니다. 또한 Apple 지갑 또는 모바일티머니 iOS 앱을 통해 수동·자동 충전이 가능하며 잔액 조회도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은 간단합니다. Apple 지갑 → + 버튼 → 교통카드 → 티머니 선택 순으로 진행하면 되고, 애플워치도 iPhone Watch 앱에서 동일 절차로 연동할 수 있습니다. 지원 기기는 일반적으로 iPhone XS·XR 이후 모델(최소 iOS 17.2 이상), Apple Watch Series 6 / SE 2세대 이상 watchOS 10.2 권장으로 안내되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페이 국내 정식 파트너인 현대카드가 주요 충전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지갑 앱 내 자동충전 및 일부 충전 기능은 현대카드 연동이 사실상 필수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갑에서 막히더라도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다른 국내 발급 카드로 충전하는 우회가 가능하지만, 외국 발급 카드나 관광객 계정은 아직 제약이 많다는 사용자·언론 보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3 사용 범위, 미지원 항목, 향후 전망
등록된 티머니 애플페이는 서울·수도권 지하철, 광역·시내버스 등 티머니 호환 교통망 전반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점 등 일부 가맹 소매 결제도 지원하는 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기후동행카드·K-패스 같은 다른 교통정책형 상품은 애플페이에 직접 탑재 불가이며, 필요 시 모바일티머니 또는 실물카드로 별도 이용해야 합니다. 자동충전은 지갑 앱에서 현대카드 기반으로 설정하거나, 앱 내 결제수단을 다양화해 관리하는 방식으로 병행할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애플 교통카드 지원이 확대되면서 삼성페이 중심 구조가 완화되고, 외국인·관광객 지원 범위가 후속 업데이트에서 개선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아이폰으로 지하철 탑승!
티머니 애플페이 연동은 국내 iOS 이용자 대중교통 경험을 ‘실물카드 프리’ 시대로 끌어올린 전환점입니다. 익스프레스 모드로 잠금 해제 없이 승차하고, 자동충전으로 잔액 걱정을 덜며, 하나의 디지털 지갑에서 교통과 결제를 통합 관리하는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아직 외국인 사용 제한, 특정 카드사 의존도, 정책형 교통상품 미연동 등 과제도 남아 있지만, 이번 출시는 생태계 확장의 시그널로 해석됩니다. 아이폰 사용자라면 지금 바로 지갑 앱을 열어 티머니를 추가하고, 출퇴근·여행 루틴을 한층 가볍게 만들어 보세요.
⸻
🔧 빠른 실행 체크리스트
• 지갑 앱 열기 → + → 교통카드 → 티머니 선택 후 등록.
• 익스프레스 모드 ON(잠금 해제 없이 탭 결제).
• 잔액 임계값·자동충전 금액 지정(현대카드 연동 시 편리).
• 모바일티머니 앱에도 로그인해 추가 충전/가맹점 정보 확인.
• iOS / watchOS 버전 최신 업데이트 필수.